A형 여심 vs B형 괴짜
2005년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색다른 작품 'B형 남자친구'는 혈액형 성격론을 재미있게 풀어낸 영화입니다. 이동건과 한지혜 주연의 이 작품은 한국 사회에 깊이 뿌리내린 혈액형 성격 유형에 대한 고정관념을 유쾌하게 활용하며 관객들에게 웃음과 공감을 선사합니다. 운명적인 사랑을 믿는 A형 여대생 하미(한지혜)가 길거리에서 우연히 마주친 B형 남자 영빈(이동건)에게 첫눈에 반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전형적인 A형 여성인 하미는 꼼꼼하고 계획적이며 안정을 추구하는 성격입니다. 반면 영빈은 마치 B형의 교과서처럼 즉흥적이고, 엉뚱하며, 자기중심적인 면모를 보여줍니다. 사촌언니의 "B형 남자는 최악이야!"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하미는 영빈의 화려한 이벤트와 적극적인 구애에 마음을 열게 됩니다. 영화는 '혈액형 궁합'이라는 한국 특유의 문화적 요소를 로맨스 플롯의 핵심 갈등으로 설정함으로써 친숙하면서도 신선한 이야기를 펼쳐나갑니다. 'A형 여심 vs B형 괴짜'라는 구도는 단순한 코미디 장치를 넘어,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두 사람이 사랑하면서 겪는 진정한 갈등과 성장을 보여줍니다. 하미가 영빈의 예측불가능한 행동에 당황하고, 영빈이 하미의 계획적인 성향에 답답해하는 모습은 많은 실제 커플들의 모습을 반영합니다. 결국 이 영화는 혈액형이라는 틀을 통해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진정한 사랑의 시작임을 보여주는 따뜻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혈액형 성격론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서로 다른 성격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재미와 의미는 관객들에게 특별한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B남의 짝사랑 분투기
'B형 남자친구'의 매력적인 캐릭터 영빈(이동건)은 "폼생폼사"(폼은 생명, 폼은 사활)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인물입니다. 대학생 신분으로 벤처 사업을 하는 그는 집은 없어도 차는 필수품이라 여기며, 화려한 겉모습에 집착하는 전형적인 B형 남자로 그려집니다. 영빈의 이러한 성격은 처음엔 하미(한지혜)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지만, 점차 관계의 균열을 가져오는 원인이 됩니다. 영화는 영빈의 특이한 데이트 스타일을 통해 B형의 창의적이면서도 엽기적인 면모를 재미있게 표현합니다. 그는 남의 사무실에 몰래 들어가 허들 시합을 하거나, 고층 빌딩 엘리베이터에서 슈퍼맨 놀이를 하는 등 남다른 상상력으로 데이트를 이끌어갑니다. 이런 모습은 처음엔 하미에게 신선한 경험으로 다가오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비뚤어지고 이기적인 면모가 드러나면서 관계는 위기를 맞게 됩니다. 특히 B형 특유의 계산적이고 쪼잔한 면모는 하미의 마음에 상처를 주게 됩니다. 영화는 단순히 혈액형 성격을 희화화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진정한 사랑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 합니다. '차는 있어도 사랑은 없다'는 표현처럼, 물질적 가치나 외적인 모습보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임을 영빈의 성장을 통해 보여줍니다. 그가 하미를 잃은 후에야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 과정은, 관객들에게 관계에서의 진정성과 상대방에 대한 존중의 중요성을 일깨웁니다. 이 영화는 웃음과 공감을 자아내는 로맨틱 코미디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연애관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엘리베이터의 슈퍼맨
'B형 남자친구'는 특이한 성격 조합인 A형 여자와 B형 남자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하고 위기를 맞는지 흥미롭게 보여줍니다. 영빈(이동건)의 엘리베이터 슈퍼맨 놀이와 같은 특이한 행동들은 처음에는 하미(한지혜)에게 새로운 활력소로 작용하지만, 결국에는 그녀의 마음을 잃게 만드는 '크립토나이트'가 됩니다. 이렇게 영화는 '슈퍼맨'처럼 화려하게 등장했다가 '크립토나이트'에 무너지는 B형 남자의 애정행로를 코믹하면서도 현실적으로 그려냅니다. 영화의 후반부는 한번 맘이 돌아서면 좀처럼 쉽게 돌이킬 수 없는 A형 여자 하미와, 그녀의 마음을 되돌리려는 B형 남자 영빈의 안타까운 '역주행' 러브스토리를 보여줍니다. 뒤늦게 하미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영빈은 그녀의 마음을 되돌리기 위해 노력하지만, 이미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하미는 쉽게 돌아서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서 영화는 선배 경준의 제안으로 인해 상황이 더욱 복잡해지는 전개를 보여주며,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B형 남자친구'는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를 넘어,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연인들이 진정으로 이해하고 화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영화의 결말부는 혈액형이라는 틀에 갇히지 않고, 진정한 사랑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데서 시작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엘리베이터에서의 슈퍼맨 놀이처럼 때론 엉뚱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도 사랑하는 마음으로 바라보면 특별한 추억이 될 수 있음을, 그리고 상대방의 성격을 바꾸려 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함을 영화는 따뜻하고 유쾌하게 전달합니다. 2005년 개봉 당시 혈액형 성격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많은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던 이 영화는, 지금 봐도 여전히 공감되는 사랑과 이해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